셰일가스와 원유의 역학관계??
원유가격이나 생산량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이 많죠..
유가는 이번 주 내내 꾸준히 상승했고
브렌트유와 WTI는 이번주에 각각 배럴당 $66과 $63의 고점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35242
현재 에너지 시장의 역학에 대해 알아야 할 3가지 | Investing.com
Ellen R. Wald, Ph.D. 편집한 상품 분석: 브렌트유 선물, WTI유 선물. Ellen R. Wald, Ph.D. 의 Investing.com에 관한 상품 분석을 한번 읽어보십시오.
kr.investing.com
올해 원유가격에 대한 관점은 아래 3가지로 요약된다고 하네요..
1. 미국 데이터와 텍사스 한파 영향 잔재
2. 3월 4일 OPEC+ 회담 -> 증산에 합의 할까요?
3. 셰일유 생산 전망 -> 세일가스의 손익분기점이 어느정도인지 인데..
2016년에는 대부분의 업체가 배럴당 $50대에서 $60대 중반의 가격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20년에는 셰일 유정의 약 절반 가량이 배럴당 $40대에서 수익을 낼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시점에서 셰일유를 증산해도 이상하지 않을듯 합니다.
결국 원유가는 지금의 수준에서 더 상승의 여력은 없다고 봅니다.
S-OIL의 경우
최근에 어느정도 원유가격 상승에 대한 가격 상승이 진행되었다고 보지만..
추세상 아직 상승의 여력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정유공장처럼 대규모 장치 산업의 특성상 증설되면 대규모 투자금액이 들어가는데요..
CAPEX를 보시면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이제 이런 호재가 주가에 반영되지 않을까 합니다.
셰일가스 테마주도 잠시 살펴보면..
대장주는 SH에너지 화학인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움직임을 확인해봐야 할 듯 합니다.
SH에너지화학 연초에 한번 올라가더니 박스권이네요..
본 포스팅은 제휴 마케팅의 일환으로 경제적 댓가를 받을수 있음
'투자분석 > 거시적인 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트투자 시작해보기 -1 feat 강환국님 (0) | 2021.11.01 |
---|---|
최고 연 7~8% ‘고금리’ 적금..주식에서 저축으로?? (0) | 2021.03.06 |
국채금리 상승을 바라보는 개미의 눈.. (0) | 2021.02.23 |
원유가격과 정제마진 그리고 섹터.. (0) | 2021.02.16 |
차량용 반도체 과연 무엇인가??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