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전략/거시적인 관점

원유가격과 정제마진 그리고 섹터..

by 존 템플턴 2021. 2. 16.

원유가격의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데..

정유사들은 우울하다고 하네요..

 

 

11개월래 최고치 국제유가에도 정유사 우울

국제유가가 배럴당 53달러를 넘어서며 11개월 새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국내 정유사는 여전히 웃지 못하고 있다. 바닥 수준의 정제마진이 이어지고 있고, 상반기 중 코로나19 상황 개선 여부도 불

www.etnews.com

 

 

 

www.neste.com/investors/market-data/refining-margins

 

Refining margins

Neste reference margin (USD/bbl) (updated daily). Daily figure is based on last five (5) days rolling average.

www.neste.com

 

이유는 정제마진이 거의 바닥이라서..

정제마진이 최소 5달러는 되어야 손익분기점이 된다고 하는데 너무 낮죠..

 

 

 

 

 

주식투자노트에서 월1만원이면 알짜종목을 매일3번, 콕! 찍어드립니다

 

실시간 급등주 정보를 매일 3번 문자로 빠르게 받아보기

 

 

 

정유주 실적의 핵심지표는 유가와 정제마진..

 

아래는 원유정제 흐름도..일명 process flow Diagram..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석유 이렇게 만들어집니다..

 

 

 

 

 

 

정유업체의 이익 = 석유제품 판매 수익 - (원유 수입비용, 설비 운영비 및 제품 운반비 , 원유 수입비용, 설비 운영비 및

제품 운반비)

 

요렇게 간단한 식으로 정제마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원유가격이 올라가면 원유 수입비용이 늘어나서 정제마진은 감소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듭니다만..

 

여기서 레깅마진이라는 개념이 필요합니다..

 

레깅마진(Lagging Margin) : 원유 도입에서 생산까지 2개월 정도의

시차가 존재해 유가와 환율 변동에 노출돼있기 때문에 발생한 마진(차익).

유가 상승기엔 레깅마진이 확대,

유가 하락기엔 레깅마진 하락이 일반적. 

 

예를 들면 정유사에서 40달러에 원유를 수입해서 정제 과정을 거쳐 제품까지 약 60일이 걸리는데

 

그런데 2달이후 국제 유가가 50달러가 됐다면..

 

현재시점에서 유가의 상승폭에 발맞춰 석유화학제품의 가격은 인상되어서 판매 수익은 올라가는데

원료가 되는 원유의 가격은 2달전 그 가격. 한마디로 재고자산의 가치상승..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원유가격 상승시 정유사 실적이 좋아지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원유관련 ETN, ETF와 정유사랑 같이 비교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SK이노베이션 S-OIL 이외에

GS 종목에 관심이 갑니다. (GS 칼텍스의 모회사) 혹은 한국조선해양

아직 상승폭이 적네요..

 

 

 

본 포스팅은 제휴 마케팅의 일환으로 경제적 댓가를 받을수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