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기 전 필수 확인 서류..등기부 등본 확인사항
왜 확인해봐야 할까요?
실제 주인이 누구인지 빚은 얼마나 있는지등을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등기부 등본의 종류
l 토지등기부등본 : 토지만 있는 경우, 또는 토지 위에 건물이 있더라도 건물이 단독주택, 다가구 주택, 상가주택인
경우에 떼어봅니다.
l 건물등기부 등본 : 건물이 단독주택, 다가구 주택, 상가주택인 경우
l 집한건물등기부 등본 : 건물이 빌라, 연립, 아파트인 경우
* 건물등기부 등본 구성
가) 표제부
1) 표 시 번호
|
2) 접수
|
3) 소재지번 |
4) 건물내역 |
5) 등기원인 및 기타사항 |
1 |
2014년 7월 10일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231-1 |
철근콘크리트조 평슬래이브지붕 3층 1층 220m2 2층 220m2 3층 155m2 |
도면편철장 제4책 36장 |
1) 표시번호 : 등기한 순서
2) 접수 : 사려는 집이 얼마나 오래된 집인지… 이 집은 문서상 2014년 7월 10일날 건축
3) 소재지번 : 사려는 집의 정확한 주소
4) 건물내역 : 사려는 집의 총 층수와 각 층의 면적
5) 등기원인 및 기타사항 : 그냥 넘어가셔도 됨
나) 표제부 2
[표 제 부] (전유부분의 건물의 표시) |
|||||
표시번호 |
접수 |
6) 건물번호 |
7) 건물내역 |
등기내역 및 기타사항 |
|
1 |
2004년 7월 10일 |
제3층 301호 |
철근콘크리트 60.5m2 |
도면편철장제4책36장 |
|
(대지권의 표시) |
|||||
표시번호 |
대지권종류 |
8) 대지권비율 |
9)등기내역 및 기타사항 |
||
1 |
소유권 대지권 |
200.5분의 24.09 |
도면편철장제4책36장 |
||
6) 건물번호 : 사려는 집이 아파트, 연립, 빌라인 경우 집의 층수와 호수
7) 건물내역 : 집의 전용면적 여기서는 전용면적은 60.5m2 약 18평
8) 대지권비율 : 한 필지의 땅 중에서 집주인의 땅은 얼마나 되는지 여부
여기서는 한 필지의 땅은 220.5m2 이고 그 땅 중에 301호 집주읜의 땅은 24.09m2
(대략7평)
이게 왜 중요한지 하면 재개발이나 재건축시 지분이 클수록 넓은 아파트를 분양 받을 가
능 때문에.
9) 등기원인 및 기타사항 : 대지권을 등기한 날
다) 갑구 : 소유권에 관련한 사항
돈을 주고 정당하게 구입한 집의 소유권을 잃게 되는 사항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곳입니다.
만약 이곳에 예고등기, 소유권이전청구권 가등기, 소유권이전금지 가처분, 환매등기등의 권리
가 기록되어 있으면 거래를 해서는 안됩니다.
나중에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에게 집을 뻿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갑 구 ] (소유권에 관한 사항) |
||||
1) 순위 번호 |
2 )등기목적 |
3) 접수 |
4) 등기원인 |
5) 권리자및기타사항 |
1 |
소유권보존 |
2014년 8월 20일 제400000호 |
|
소유자 이선길 주민번호 소유자 주소 |
2 |
소유권이전 |
2015년 7월 11일 제410000호 |
2015년 8월 10일 매매 |
소유자 정민호 주민번호 소유자 주소 |
1) 순위번호 : 등기를 접수한 날을 기준으로 등기에 순서를 매긴 번호. 즉 갑구 안에 있는 권리
들끼리 순위 다툼이 있는 경우 이 순위번호로 순위를 가립니다.
2) 등기목적 : 등기를 한 목적이 기록된 곳. 여기서 순위번호 2의 등기목적을 보니 집의 소유권
을 넘겨주는 것이 목적
3) 접수 : 갑구에 있는 권리와 을구의 권리끼리 순위 다툼이 있을 경우 이 접수 날짜 기준
4) 등기원인 : 등기를 하게 된 이유가 기록되어 있는 곳… 이 집은 매매가 원인이 되어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습니다.
5) 권리자 및 기타사항 : 현재 집주인이 누구인지 주소와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거래가격등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꼭 확인..
라) 을구 : 내가 사려는 집의 빚이 얼마인지,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대한 사항들..
1) 순위번호 : 을구안의 권리끼리 순위 다툼이 있을 경우 이 순위번호로 순위 가림
2) 등기목적 : 등기를 한 목적
3) 접수 : 등기를 접수한 연월일이 기록.. 갑구에 있는 권리와 을구에 있는 권리끼리
순위 다툼이 있을 경우 이 접수 날짜를 기준으로 순위 가림
4) 등기원인 : 동기를 하게 된 원인
5) 권리자 및 기타사항 : 현재 근저당권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채무액등이 나옵니다.
여기서는 근저당설정이 3개가 있는데 두번쨰 근저당은 삭제되고 2개 남았네요..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와 생활경제(강남 상승률을 넘은 지방아파트의 정체) (0) | 2020.02.18 |
---|---|
부동산 & 경제지표 (벌집모형) (0) | 2020.02.11 |
부동산 독법-1 (0) | 2019.12.10 |
부동산 투자 인사이트-1 (0) | 2019.12.09 |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이야기-1 (기본적 서류들)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