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이야기

변액보험을 잘 활용하는 방법.

by 존 템플턴 2020. 10. 14.
반응형

참고자료 : 금융감독원 파인..

 

 

 1. 원금보장 측면

 

   변액보험은 보험 펀드를 결합한 상품으로 보험료(적립금)를 펀드에 투자하고 그 펀드 운용실적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투자한 펀드의 수익률이 저조할 경우에는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액보험은 납입한 보험료 원금을 보장받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상품입니다.

    원금 보장을 원한다면 변액보험 보다는 일반 저축성보험이나 예·적금에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변액보험과 타금융상품 비교 >

 

구분

변액보험

일반보험(저축성)

예금

수익증권(펀드)

원금보장(만기시)

×

×

중도 해지시

손실 가능 여부

있음
(해지시 일정액 공제)

있음
(해지시 일정액 공제)

약정이자보다 적은
이자 수령

있음
 
(단기 해지시 공제)

투자기간

종신

대부분 장기

대부분 단기

대부분 단기

 

 2. 가입목적과 투자성향을 고려한다.

 

   변액보험은 사망 등 위험을 보장하면서, 투자를 통해 향후 지급 받는 보험금액·연금액 등을 늘리고자 하는 목적입니다.

   변액보험 중 저축형은 목돈 마련, 보장형은 사망 등 위험 보장, 연금형은 노후대비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변액 보험상품 유형>

 

구분

저축형

보장형

연금형

가입

목적

장기 자산증식을 위한

자금 마련

사망, 질병 등을 대비한 보장자산 마련

노후 대비 등을 위한 자금 마련

보험

상품

변액유니버설(적립형)

변액종신, 변액유니버설(보장형)

변액연금

 

 

* 변액 유니버설보험 :  변액보험의  실적배당기능,  유니버설보험의  자유입출금이  결합된 보험

 

 

  변액보험은 가입시 자신의 적립금을 운용할 펀드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 펀드 유형별 주요 특징 >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운용 대상

주로 주식에 투자

(60% 이상)

주로 채권에 투자

(60% 이상)

채권, 주식 등 운용

장점

주식 시장 활황시

고수익 획득 가능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확보, 원금 보전 가능성 높음, 급격한 수익률 등락 없음

안정성과 수익성 동시 추구 가능

단점

주식 시장 폭락시

원금 손실 가능

저금리 시대에는

고수익 기대 곤란

주식 시장 폭락시 수익 기대 곤란

운영

적기

주식 시장 활황기

고금리 안정화기

시장 예측이 불확실한 경우

 

 

 

 

 

 

 

3. 사업비와 수익률 점검

 

  금감원이 파악한 바로는 실제 공시된 변액연금의 사업비* 회사 및 상품별로 큰 차이 (최소 6.66%, 최대 14.16%)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11~’15) 변액보험 펀드의 연평균수익률(입보험료 대비 수익률이 아닌 펀드투입원금 대비

   수익률 보험회사별로 차이가 큰 것 (최고 3.1%, 최저 -0.3%)으로 나타났습니

 

                            <생명보험협회 홈페이지 공시실에서 확인 가능한 정보>

 

구분

확인 가능한 정보

사업비 및 펀드 투입금액 등

보험사별·상품별 사업비율(계약체결비용 및 계약 관리비용), 펀드 투입금액 및 비율, 최저보증 수수료 비율(적립금 대비) 

펀드 현황

보험사별 펀드의 기준가격 및 최근 수익률 추이, 자산 구성내역 등

 

 

 

4. 10년 이상 장기 유지함이 바람직

 

 

 

    보험계약을 장기간 유지할 경우에는 위험(사망 등)보장과 함께 경제·금융 상황이 좋을 경우 높은 수익률을 향유할

    수 있고특히 저축성 변액보험의 경우에는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보험상품과 마찬가지로 단기간 내 보험계약을 해지할 경우에는 해지시 공제하는 금액(해지공제액

      이 크기 때문에 해지환급금이 원금보다 적어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5. 가입 이후에도 적절한 펀드 변경 등 관리 필요

 

    변액보험은 보험회사가 계약자 본인이 선택한 펀드를 운용할 뿐 펀드 투자결정은 계약자 본인의 

     몫입니다. 따라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험가입 후에도 경제 상황에 따른 펀드변경 등 

     본인의 지속적인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6. 수익률에 유리하려면 보험료 추가납입제도 활용

 

 

  변액보험 또한 다른 저축성보험과 같이 이미 가입한 보험에 기본보험료의 2배 이내에서 보험료를 추가납입할 수

  있는 

  “보험료 추가납입제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가납입제도를 활용할 경우, 계약체결비용(모집수수료 등)이 별도로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로 보험을 가입하는 경우보다 사업비가 저렴*하여 가입자에게 유리합니다.

 

 

                          < 보험료 추가납입제도 활용효과 비교>

 

 

구 분

보험료 추가납입 활용시

보험료 추가납입 미활용시

기본보험료(매월)

100,000

300,000

추가납입보험료(매월)

200,000

0

사업비 등 차감비용(매월)

13,49013,530

17,79028,380

환급금액

(수익률 3.5% 가정)

경과기간

납입보험료

해지환급금

납입보험료

해지환급금

1

360

324(89.9%)

360

263(73.1%)

3

1,080

1,062(98.3%)

1,080

986(91.3%)

10

3,600

4,081(113.3%)

3,600

3,936(109.3%)

 

 

7. 온라인으로 납입보험료·수익률 등 확인 가능

 

변액보험 가입자는 본인이 가입한 보험회사의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상세한 

계약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소문내기 활동을 하면서 해당 광고업체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기로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