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시즌 발표에서 대박주 찾는 방법
실적 시즌이 도래하고 있습니다.
실적의 방향성에 따라 주가의 희비가 엇갈리죠.
그렇다면 내 주식 종목의 실적은 어떻게 해석하고 투자해야 할까요?
그럼 잠시 분기별 실적 공시 일정을 살펴보면.
아래해당 분기 종료 후 45일이내에 실적을 공시하는 것이 의무입니다.
예를 들면 1분기 즉 1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업실적을
45일후인 5월 15일까지 발표
1분기 발표기간 4월 1일 ~ 5월 15일
2분기 발표기간 7월 1일 ~ 8월 15일
3분기 발표기간 10월1일 ~ 11월 15일
4분기 발표기간 1월 2일 ~ 3월 30일
여기서 연간실적을 발표하는 기간은 마지막날로 부터 90일 이내입니다.
7월 21일 기준으로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총 28종목이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실적발표를 찾는 방법은요..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dart.fss.or.kr
에 가셔서.. 아래처럼 찾아보시면 됩니다..
비싼 상담비용 NO.. 포스에서 무료로!
무료로 인공지능 로보 어드바이저 서비스에 가입하시고 나만의 맞춤형 상품 큐레이션 서비스도 받아보세요.
자 그럼 이제부터 실적 비교하는 3가지 방법..
첫번째.. 전년동기와 비교합니다.
즉 2019년 1분기와 2020년 1분기의 실적.. 이유는 계절성 때문입니다.
여름에 실적이 좋은 기업과 겨울에 실적이 좋은 기업이 있죠..
예를 들명 여름 실적이 좋은 아이스크림 회사와 겨울 실적이 좋은
의류회사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경기민감형 업종의 경우는 전분기와 비교하면 더 좋겠죠..
2020년 1분기와 2020년 2분기..
석유화학업종이나 반도체, 디스플레이등..
고객사의 설비투자 계획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큰 기업들입니다.
두번째..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등 다양한 실적중 어떤 것을 볼 것인가?
기업이 속한 업종에 따라 틀리지만..
성장기 기업인지 성숙기 기업인지 확인해봐야죠..
성장기 기업이라면 특히 이커머스 기업이라면 매출액이 더 중요하지만
이미 성숙기인 회사는 예를 들면 화학 / 식품등은 영업이익이 더 중요하죠..
세번째.. 금융회사에서 제시하는 예상치 컨센서스와 비교해보는 방법
먼저 증권사에서 제시한
실적 컨센서스와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예상치보다 잘 나왔을 때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보다 못 나왔을 때 '어닝 쇼크'라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 금융
실적 컨센서스가 존재하는 종목은
전체 상장사 중 25%정도인데 대부분 대형주 위주입니다.
만약 내가 투자하고 있는 종목의 실적 컨센서스가 궁금하다면
네이버 금융에서 종목명을 검색한 후 분석으로 가시면 됩니다.
회사의 발표 실적이 증권사 컨센서스를 상회했음에도 주가가 하락하기도 하는데
투자자들이 해당 종목의 실적이 잘 나올 것을 예측하고
미리 투자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매일 보는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19 백신/치료제 관련종목 심도있는 분석.. (0) | 2020.09.21 |
---|---|
공매도 금지 연장 주식시장의 영향은 (0) | 2020.08.30 |
2020년 2분기 GDP 전 분기 대비 3.3 % 감소 코로나 영향으로 수출감소 (0) | 2020.07.25 |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하기 (0) | 2020.07.06 |
20.6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수정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