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와 생활경제 (코로나19와 주식투자 전략 )
1. 전 세계적인 악재
120주선: 3년의 중장기 추세를 나타내는 이동평균선
2018년 1월 코스피지수가 2,607.1 고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 9월을 기점으로 120주선을 하향 이탈
2018년 9월은 미-중 무역분쟁이라는 악재라는 직격탄
그 이후 120주선에 부딪히는 모양이 반복됨
2. 2019년 기저효과와 2020년의 기대
3. 다우존스 지수..
포인트 기준으로 보면 1987년 블랙 먼데이의 사상 최대 낙폭 기록을 경신.
27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90.95p(4.42%) 폭락한 2만5766.6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기록한 낙폭은 1884년 다우지수가 만들어진 이후 136년 역사상 가장 큰 수준이다
4. 팬데믹일까??
5. 실적과 정책
KB증권 | able, 당신을 가장 잘 아는 금융서비스
start.kbsec.com
6. 안정자산으로의 회귀? (금 / 채권 -> 채권을 추천)
7. 포트폴리오의 변경 (현금보유 늘리고 / 배당률 투자 / 인버스 ETF)
- 가능한 많은 현금을 보유함으로써 후일을 도모
- 2018년 1월 이후 코스피지수는 20% 이상 가량 하락한 상황입니다.
주가상승을 기대하기 힘들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상황.
배당 매력이 있는 주식을 선택.
- 인버스 ETF (주가가 떨어지면 돈 버는 파생상품)
'매일 쓰는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보험사 비교시 5가지 : 보험과 생활경제 (0) | 2020.03.17 |
---|---|
빅데이터와 생활경제(주식 지금 매수 시점인가???) (0) | 2020.03.17 |
2월 소비자 물가지수와 다우지수 (0) | 2020.03.06 |
빅데이터와 생활경제(코로나19가 바꾼 경제지도 ) (0) | 2020.03.01 |
빅데이터와 생활경제(무조건 성공하는 주식투자)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