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과 경제지표-3 (시중 유동성)
1.벌집 모델
2.부동산 관련 데이터 찾기
3.시중 유동성
4.부동산 수급관련
5.부동산 가격의 적정성 (valuation)
-부동산 거래는 기본적으로 목돈이 필요하므로 시중 유동성과 대출상황이 주요 변수
-통화증가율, 물가추이, 은행권의 대출태도, 대출금리,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점검 필수
M2 (광의통화) 추이 및 전년대비 증가율
소비자 물가지수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은행 태도
은행 대출금리
반응형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부동산 아직 희소가치가 있는가? (0) | 2020.06.30 |
---|---|
자동차 보험료 절약하는 8가지 생활습관 (0) | 2020.06.14 |
부동산 & 경제지표 (부동산 관련 데이터 찾기) (0) | 2020.02.24 |
빅데이터와 생활경제(강남 상승률을 넘은 지방아파트의 정체) (0) | 2020.02.18 |
부동산 & 경제지표 (벌집모형)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