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기법

기술적 분석의 교과서 - 9 이동 평균선 분석

by 존 템플턴 2020. 9. 24.
반응형

기술적 분석의 교과서 - 9 이동 평균선 분석

 

 

 

 

 

- 이격도란 주식을 매수한 사람의 평균 가격과 주가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도.

 

- 제넥신 이격도 분석

 

 

- 지지와 저항

주가가 상승 중일 때에는 단기.중기.장기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상승하게 되나

하락 반전시에는 이동평균선을 차례로 하향 이탈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은 3:3 이론이라고 하는데 20일선 즉 심리선에 대한 거짓 지지와 저항에 대한

예시이다.  3일 이내 3% 조정이면 그 추세는 유효하다.

 

 

 

투자가 아닌 투자 플랫폼을 드립니다.

단순한 주식 리딩 정보 제공이 아닙니다. 이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주식 정보 제공!

단기투자 / 중기스윙 / 투자초보 / 원금회복 등등총 8가지의 다양한 주식 리딩 정보를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투자 플랫폼 신청하기..

 

 

- 방향성 분석

각각의 이동평균선이 상승 중인지, 하락 중인지 분석하는 방법..

상승장세에서는 5-> 20-> 60-> 120이평선 순서로 상승방향이 전환

하락 장세에서는 단기 -> 중기 -> 장기 이평선 순으로 하락

 

 

 

- 배열도 분석 

정배열은 현재 주가 -> 단기 이동평균선 -> 중기 이동평균선 -> 장기 이동평균선의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배열된 상태..

역배열은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 크로스 분석

이동 평균선 분석에서 가장 일반적인 분석방법입니다.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하는 골든크로스와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 돌파하는 데드크로스

 

 

- 밀집도 분석

이동 평균선 간격이 멀어질수록 기존 추세가 계속되고 멀어지던 간격이 좁혀지기 시작

하면 추세 전환이 가까워짐을 예고한다.

즉 각 이동평균선이 한 점에 모이게 되는 시점이 시세의 급반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바닥권에 있는 주식 가운데 주요 이동평균선이 한 점에 모이는 형태를

보이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소문내기 활동을 하면서 해당 광고업체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기로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