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뉴스를 보니..
정부가 차세대 먹거리인 시스템 반도체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올해 총 2,400억 원을 연구개발(R&D)에 지원한다.
정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3차 혁신 성장 ‘빅3’ 추진 회의에서
글로벌 K팹리스(반도체 설계 회사) 육성을 위한 ‘시스템 반도체 기술혁신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물론 소식을 들어봐서 아시지만 삼성전자나 SK 하이닉스 같은 종합반도체 업체도 이 시스템 반도체에
엄청난 투자를 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왜 이렇게 시스템 반도체에 열광하는지 잠시 시장조사를 살펴보면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보다 규모가 큼.
2019년 비메모리 분야의 시장규모는 3067억달러로 메모리(1116억달러) 분야의 약 3배에 달함.
하지만 국내 기업의 글로벌 비메모리 시장점유율은 약 4%에 불과. 퀄컴, 애플,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팹리스(시스템 반도체 설계) 업체가 있는 미국이 점유율 약 65~70%, 중국이 10% 중반대.
역시 우리나라가 약하죠..
밑에 그림은 일명 말하는 반도체 생태계입니다..
팹리스 즉 반도체 설계를 하는 기업을 키우겠다는 의지죠..그럼 우리나라에서 팹리스를 하는 회사를 잠시 살펴보면..
아이에이 -> 차량용 반도체 설계도 한다고 합니다..
어보브반도체
동운아나텍 -> 여긴 제가 업무 때문에 가봤는데 아직 열악하더군요.
픽셀플러스
이 정도로 보시면 될듯하네요..
아직 우리나라는 패키징 테스트 즉 반도체 후공정 기업이 많죠..
노다지 주식정보에서는 사이트 내 무료 회원등록을 통해 원하는 주식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번 쫙 정리해봤습니다..
오늘 관련 대부분 기업들이 상승했네요..
개인적으로는 팹리스 위 단계에 있는 칩리스 업체에 관심이 많은데..
왜냐하면 반도체 업종이나 제가 몸담고 화학업종이나 업무의 흐름은 비슷하거든요..
글로벌 화학기업들은 대부분 자체 화학공정에 대한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데
이게 부가가치가 정말 좋거든요..
국내 화공이나 발전플랜트 설계 시공사 (삼성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 및 대림산업등)도 해외에 나가서 많은 수주를
하지만 반도체 산업처럼 칩리스나 팹리스처럼 공정라이센스나 기본설계는 많이 약하죠.
이게 국내 전반적인 제조업의 약점 머.. 비스무리한 상황이네요.
그럼 국내에서 칩리스 비슷한거 하는 업체를 보면..
에이디칩스 / 칩스앤미디어
정도로 보면 될듯합니다..
본 포스팅은 제휴 마케팅의 일환으로 경제적 댓가를 받을수 있음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 배당방식이 균등분배 바뀜에 따라 공모주 투자는 확실한 돈벌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0) | 2021.02.14 |
---|---|
세계 최초 수소법 시행 그리고 수소차 테마주 알아보기 : 인프라, 연료전지 그리고 부품 (0) | 2021.02.06 |
1월 5주차 어떤 종목에 관심을 가져야 하나?? (0) | 2021.01.24 |
쿠팡 IPO 관련 종목들 살펴보기.. (0) | 2021.01.12 |
미국, 전기차 개발 전성시대 그리고 관련주 간단 정리.. (0) | 2021.01.12 |